2020 도쿄 올림픽 남자 양궁 단체전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의 상대로 대만이랑 경기를 치르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접전 끝에 대한민국이 금메달을 차지한 가운데 현지 누리꾼들이 경기 이후 한국에 대한 고마움을 표하는 모습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그 내용이 무엇일까요?
대한민국 남자 양궁 국가대표 대표팀은 지난 26일 일본 도쿄 유메노시마 공원 양궁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대만에 세트스코어 6대0으로 승리하여 금메달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국내 누리꾼들은 경기 종료 후 트위터를 통해 대만 선수들을 향해 "남자 양궁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차지한 대만 선수들 축하한다", "대만 선수들도 멋진 경기를 보여줬다"는 등의 찬사를 보내며 그들을 위로하는 글들을 보내 주었습니다.
이 트위터를 통해서 대만 선수들 이라는 말이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대만 한 누리꾼은 "한군 트위터의 글 댓글에 우리는 언제쯤 스스로 대만이라 부를 수 있을까"라는 글을 남기기도 했고, 해당 글은 7400번 넘게 공유 될 정도로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듯 대만의 공식 명칭은 "타이완"이라고 불리지만 그들은 국제 스포츠 대회에 출전할 때 이 명칭을 사용할 수 없었고, 자신의 나라를 대만이라고 당당하게 부르지도 못했습니다. 국기도 사용 할 수 없으며, 국가를 제창 할 수도 없는 민족의 아픔을 가지고 경기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왜일까요? 이러한 민족의 아픔의 배경은 중국과의 역사적 관계가 얽혀있습니다. 중국은 1949년 국공내전(국민당 공산당 내전)이후 대만이 자신들의 영토를 불법 점령하고 있다며 대만을 온전한 국가로 인정하지 않아 어디서든지 대만이라는 명칭을 자유롭게 쓰지 못하는 아픔을 가지고 있는 나라이기 떄문입니다.
중국은 타이완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국제 사회에 대해서 강하게 반대하는 입장이고, 이로 대만은 1981년 이후 올림픽 등 국제스포츠 대회에서 타이완(대만)대신 차이니스 타이베이 라는 자신들이 인정하고 싶지 않은 이름을 사용하고 있어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누리꾼들이 자신의 나라 선수들에게 대만 선수라고 표현해 주었던 이 사실에 대해서 정말 감격을 받았고, 감동을 받았으며 올림픽이 전 세계 사람들이 하나 되는 스포츠 경기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양궁 선수
한국 남자 양궁 오진혁, 김우진, 김제덕으로 이뤄진 남자 대표팀은 26일 대만을 꺽고 금메달 2연패를 달성하는 쾌거를 보여주었습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메달을 딸 것을 기대하며 대한민국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