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있었던 자유형 100m 결선에서 황선우가 투혼의 수영 경기 끝에 5위로 들어왔습니다.
29일 오전 일본 도쿄 아쿠아틱스 센터에서 열린 2020 도쿄 올림픽 수영 남자 자유형 100m 결승에서 47.82초로 아쉽게 5위로 들어왔습니다. 금메달 우승자인 미국의 케일럽 드레셀 47.02에 0.8초가 뒤쳐진 시간입니다.
황선우는 이날 6번 레인에서 수영을 했고 5번 레인에는 강호 드레셀 그리고 7번 레인에는 디펜딩 챔피언 카일 찰머스가 있었습니다. 황선우는 출발 반응 속도 0.58로 유일하게 0.5초 대를 기록했으나 초반 50m 구간에서 드레셀과 찰머스에 뒤쳐졌고, 후반 50m 스퍼트도 따라 잡지 못해 결국 5위로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황선우 수영 선수는 아시아 수영의 새로운 역사를 썼고, 아시아 선수가 올림픽 100m 결선에 오른 것은 1956년 멜버른 대회의 다니 아쓰시 이후 65년 만에 이루어 진 쾌거 입니다.
황선우는 이날 메달을 따지 못했지만 세계적인 선수들과 겨루면서 자신의 수영 실력을 보여주었으며, 아시아 인으로, 대한민국의 수영 인재로써의 능력을 발휘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황선우는 이번 올림픽 수영 스타로 이름이 알려졌습니다. 겸손하고, 재치있고, 고등학생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모습으로 인간미까지 보여주었습니다.
황선우 선수는 전날(28일) 자유형 100m 준결선에서 47초56의 아시아신기록을 세웠고 조 4위로 8명이 겨루는 결승에 올라 오늘 결승전 수영 경기를 임하게 되었습니다.
중국의 닝쩌타오(28)가 2014년 10월 자국 대회에서 작성한 종전 아시아기록(47초65)을 황선우가 약 7년 만에 0.09초 줄여 아시아 최고 신기록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황선우는 25일 남자 자유형 200m에서 박태환의 기록을 11년 만에 0.18초 단축한 1분44초62의 한국 신기록을 세우고 제 2의 박태환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2012년 박태환 이후 경영 선수로는 9년 만에 200m 결선 무대를 밟았던 황선우는, 27일 결선에서 150m 구간까지 1위를 달리며 선전했지만 막판 50m에서 처져 7위에 머물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