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이슈 글은 필리핀에 금메달을 안긴 "물지게를 나르던 소녀"하이딜린 디아스"의 메달 소식을 전합니다.
조국에 금메달을 안긴 하이딜린 디아스
지난 26일 도쿄올림픽 여자 역도 55㎏급 A그룹 경기에서 필리핀 국적의 하이딜린 디아스가 경쟁자인 중국의 랴오추윈을 이기기 위해서 그가 택한 무게 보다 2kg이나 더 무거운 127kg을 들게 되었습니다.
잠시 주춤하는가 싶더니 이내 번쩍 들어 올리고 결국 127kg의 무거운 무게를 성공적으로 들어 올렸고, 디아스는 역기를 내려놓고 금메달을 획득 했다는 감격과 함께 뜨거운 눈물을 흘리고 보는 이들에게 감동을 주었습니다.
하이딜린 디아스는 자신의 경기 날 인상 97㎏, 용상 127㎏, 합계 224㎏을 들어 랴오추윈(223㎏)을 1㎏의 격차로 제치고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습니다. 필리핀의 올림픽 역사에 한 획을 긋는 일입니다. 필리핀이 처음 올림픽에 참가한 1924년 파리 대회 이후 처음 따낸 금메달이었기 때문에 이번 디아스는 금메달을 따고 국민 영웅이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디아스는 필리핀의 살아있는 "역도의 전설"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2008년 국가대표팀에 발탁되고 계속적으로 올림피게 참가했고 처음 참가해 랭킹 11위라는 좋은 성적을 남겼으며 필리핀 여자 역도 선수 중 첫 올림픽 출전 선수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2012년 런던 때에도 바벨을 들었지만 그 때는 실격 처리를 당하는 실연을 당했습니다.
디아스는 2015년 세계역도선수권대회에서 3위에 오르며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필리핀 여자역도 사상 세계선수권 첫 메달 그리고 2016년 리우 대회 때도 대표팀에 선발된 디아스는 3회 연속 출전한 올림픽에서 마침내 은메달을 목에 걸었고, 드디어 이번에 그 노력에 결실로 금메달을 목에 거는 쾌거를 이루게 되었습니다.
디아스의 일생
이번에 금메달을 딴 필리핀 스포츠 영웅이 된 디아스는 인생역정은 한 편의 드라마를 보는 것 같습니다. 실제 그녀는 필리핀에서는 그의 스토리가 단막극으로 제작되어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느도록 상영이 되어지고 있습니다.
1991년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부 잠보앙가에서 6남매 중 다섯째로 태어난 디아스는 어려운 가정형편 탓에 수도가 없는 집에서 매일 물지게를 날라야 했고, 가족의 식수를 나르기 위해서 매일 무거운 물 양동이를 메고 매일 수백미터씩 걸으며 가족들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어려운 시간을 견디며 정신력과 체력을 다졌고, 근육은 단단하게 단련이 되었습니다. 원래 그녀의 꿈은 은행원이었지만 가정 형편이 너무 어려운 탓에 그 꿈을 이룰 수 없었고, 대신 자신이 지금 할 수 있는 일 바로 바벨을 잡게 되었습니다.
다른 남자 형제들과 함께 배우기 시작한 역도에서 또래들보다 무거운 무게를 들며 코치 그리고 감독에 눈에 띄기 시작했고 17세 최연소 필리핀 여자 역도 국가대표로 발탁되었습니다.
중국 리우에서 첫 은메달을 땄지만 늘 부족한 훈련 경비 때문에 힘들었고, 대기업과 후원가들을 직접 찾아다니며 금전적 지원을 요청하며 어렵게 훈련을 지속해야 되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2월엔 말레이시아로 전지훈련을 갔다가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체육관 출입을 통제당했고, 수개월 동안 좁은 숙소에서 역기를 들어 올리며 훈련하며 악착같이 이를 물며 올림픽이라는 큰 무대를 꿈꾸며 훈련을 하였습니다.
그렇게 땀의 보상을 금메달이라는 쾌거를 얻게 되는 축복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필리핀에 첫 금메달을 선사한 디아스에게는 두둑한 보상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필리핀 정부와 몇몇 기업은 디아스에게 3300만페소(약 7억5000만원)의 포상금과 집을 선물하겠다고 약속했고, 디아스는 우승 후 AFP와 인터뷰에서 “꿈이 이뤄졌다. 필리핀의 젊은이들에게 ‘당신도 금메달의 꿈을 꿀 수 있다’고 말하고 싶다”며 “나도 그렇게 시작했고, 이뤄냈다”고 희망의 목소리를 들려주고 있습니다.
이번 나라를 위해서 첫 금메달을 딴 디아스에게 축하의 메시지와 박수를 보냅니다.